지정가·시장가 차이 쉽게 정리|ETF·주식 초보자를 위한 완전 가이드


주식이나 ETF 매매를 하다 보면 ‘지정가’와 ‘시장가’ 주문이 헷갈리기 마련이죠. 둘 다 매수·매도 시 자주 쓰이는 기본 주문 방식이지만, 잘못 이해하면 체결이 안 되거나 손실이 커질 수도 있습니다. 오늘은 초보자도 단번에 이해할 수 있도록 지정가와 시장가의 차이와 활용법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지정가 매도란?

‘지정가 매도’는 내가 지정한 가격 이상에서만 체결되는 매도 주문입니다. 예를 들어 10,000원에 매수한 ETF를 10,500원 이상에서 팔고 싶다면 10,500원으로 매도 주문을 걸어두면 됩니다. 주가가 그 가격에 도달해야만 체결됩니다.

요약 — “가격을 지정해서 매도”하는 방식. 원하지 않는 가격에서는 체결되지 않습니다.

  • ✅ 목표가에 맞춰 안정적인 수익 실현 가능
  • ✅ 급등 시 저가 매도 방지
  • ⚠️ 주가가 지정가에 도달하지 않으면 미체결 가능
시장가 매도란?

‘시장가 매도’는 현재 시장에서 바로 체결되는 매도 주문입니다. 즉시 매도하고 싶을 때 가장 빠르게 체결되는 방식으로, 손절이나 급락장 대응 시 자주 사용됩니다.

요약 — “지금 바로 팔고 싶을 때” 사용하는 즉시 체결 주문.

  • ✅ 체결이 매우 빠름
  • ✅ 급락장에서 빠른 탈출 가능
  • ⚠️ 시장 유동성이 적으면 기대 이하 가격으로 체결될 수 있음



지정가 vs 시장가 한눈에 비교
구분지정가 매도시장가 매도
체결 속도느림 (조건 필요)빠름 (즉시 체결)
매도 가격직접 지정시장가에 따름
위험 요소체결 지연가격 예측 어려움
사용 시점목표가 도달 시급등·급락 시
추천 대상안정형 투자자단기 대응형 투자자
ETF 자동매도에서의 적용법

ETF 예약매도(자동매도)는 기본적으로 지정가 기반으로 작동합니다. 목표가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매도 주문이 실행되죠. 하지만 일부 증권사(예: 삼성증권 mPOP)는 시장가 예약매도도 지원합니다. 이를 이용하면 급변장에서도 빠른 대응이 가능합니다.

요약 — 지정가를 기본으로 하되, 시장가는 단기 대응용으로 활용.

실전 예시로 보는 차이점
주문 방식설정 가격체결 여부결과
지정가 매도10,500원아직 미체결주가 상승 시 체결
시장가 매도즉시즉시 체결10,190~10,210원대 체결

요약 — 지정가는 기다림, 시장가는 즉시성의 차이.

초보자 추천 조합
투자 성향추천 주문 방식이유
단기 투자시장가 매도빠른 대응 중요
중기 투자지정가 매도목표 수익률 달성 중심
장기 투자예약 지정가 매도감정 배제 + 자동화
혼합 전략

숙련 투자자들은 두 방식을 병행합니다. 예를 들어 70%는 지정가 매도, 30%는 시장가로 즉시 정리하는 식이죠. 이렇게 하면 안정성과 속도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습니다.

요약 — 지정가 = 계획적 수익 / 시장가 = 빠른 대응.

마무리

주식이든 ETF든, 매도 전략의 핵심은 “얼마에, 어떤 방식으로 팔지”를 정하는 것입니다. 지정가와 시장가를 제대로 이해하면 자동매도 설정도 훨씬 안정적으로 작동합니다. 상황에 따라 주문 방식을 바꿔 쓰는 것이 바로 현명한 투자자의 습관이에요.

※ 본 글은 투자 권유가 아닌 정보 제공용 콘텐츠이며, 증권사별 정책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신한은행 미성년자 통장 개설 방법: 우리아이통장 만들기와 신한 MY 주니어 통장 안내

65세 이상 경로 우대 어르신 교통카드 (버스 무료 혜택 등) 총정리 (2025년 7월 기준)

인천 아이패스 카드: 신청 방법, 지원 대상, 혜택 총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