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현재, 65세 이상 어르신을 위한 대중교통 무임 혜택이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특히 지하철과 버스 적용 범위가 다르며, 지역별 조건도 상이하므로 헷갈리기 쉬운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수도권 지하철은 65세 이상 무료
- 서울·경기·인천 지하철: 만 65세 이상이면 무료
- 어르신용 교통카드 발급 후 개찰구 태그 시 자동 무료
- 서울지하철, 코레일 수도권 전철, 인천도시철도 포함 (공항철도 직통열차 제외)
어르신 교통카드 발급 (경기도)
어르신 교통카드 발급 (부산)
어르신 교통카드 발급 (대구)
어르신 교통카드 발급 (대전)
위 버튼 누르시면 신청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버스 무임은 지역마다 다름
지역 | 적용 연령 | 혜택 내용 |
---|---|---|
서울 | 도입 논의 중 | 지하철만 무료, 버스는 미시행 |
경북 | 만 70세 이상 | 2024.8.1부터 시내버스 전면 무료 |
대전 | 만 70세 이상 | 시내버스·BRT 무임 |
창원 | 만 75세 이상 | 2025.1.1부터 무제한 무료 (K-패스 필요) |
충남 | 만 75세 이상 | 시내·농어촌버스 무료 |
남양주 | 만 65세 이상 | 버스 이용 후 분기별 환급 |
춘천 | 만 65세 이상 | 월 20회 무료 이용 |
※ 지하철은 수도권에서만 무임 시행 중이며, 버스는 지자체별 조례에 따라 상이합니다.
💳 교통카드 발급 방법
- 주민센터 방문, 본인 신분증 지참
- 일부 지역은 은행 또는 앱에서 신청 가능
- 모바일 교통카드 불가, 실물 카드만 이용 가능
🔁 분실 시 대처 방법
- 즉시 분실 신고 후 재발급 신청
- 카드번호를 따로 기록해 두면 유용
- 타인 양도 불가 – 부정 사용 시 과태료 부과
📌 핵심 요약
- 수도권 지하철: 65세 이상 무료 (현재 시행 중)
- 버스 무임: 지역마다 시행 여부 및 연령 조건 다름
- 교통카드는 본인이 직접 신청해야 하며, 실물 카드만 가능
- 분실 시 빠르게 신고하고 재발급 받아야 함
👵 부모님이나 조부모님이 해당된다면, 꼭 알려드리고 신청 도와드리세요!
🔍 최신 정보는 지자체 홈페이지 또는 주민센터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복지로 홈페이지 바로가기
※ 본 글은 2025년 7월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정책은 변동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