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상·하한액 변경 안내
국민연금 가입자라면 매년 7월 꼭 확인해야 할 중요한 변화가 있습니다. 바로 기준소득월액 상·하한액의 조정인데요. 이 금액은 매달 납부하는 보험료는 물론, 장기적으로 수령하게 될 연금액에까지 영향을 미칩니다.
💡 기준소득월액이란?
기준소득월액은 국민연금 보험료 산정의 기준이 되는 금액입니다. 실제 수령하는 급여 수준에 따라 결정되며, 매년 하한액과 상한액이 정해져 그 범위 내에서 신고가 이루어집니다.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국민연금 안심통장 개설
국민연금vs기초연금 차이
위 버튼 누르시면 신청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2025년 변경 적용 내용
적용 기간: 2025년 7월 1일 ~ 2026년 6월 30일
| 구분 | 2024년 | 2025년 |
|---|---|---|
| 하한액 | 390,000원 | 400,000원 |
| 상한액 | 6,170,000원 | 6,370,000원 |
📊 기준소득월액은 어떻게 조정되나요?
- 매년 국민의 평균소득(A값) 증가율에 따라 산정됩니다.
- 2025년 A값: 3,089,062원 (2024년 대비 약 3.3% 상승)
- 이에 따라 상·하한액도 3.3% 인상 적용
- 만원 미만 절사로 최종 금액 확정
🧾 국민연금 보험료 예시
| 기준소득월액 | 총 보험료 (9%) | 근로자 부담 (4.5%) |
|---|---|---|
| 400,000원 (하한) | 36,000원 | 18,000원 |
| 6,370,000원 (상한) | 573,300원 | 286,650원 |
🧠 기준소득월액의 중요성
기준소득월액은 보험료 계산뿐 아니라, 향후 수령할 연금액 결정에도 큰 영향을 줍니다.
- 소득이 높고 납부 기간이 길수록 수령액 증가
- 정확한 소득 신고가 중요
- 자동조정 대상자(상·하한 외)는 2025년 7월부터 자동 변경
🔍 실생활 적용 예시
| 실제 소득 | 적용 기준소득월액 |
|---|---|
| 320,000원 | 400,000원 (하한 적용) |
| 7,000,000원 | 6,370,000원 (상한 적용) |
🧩 임의가입자·두루누리 대상자 주의사항
- 임의가입자는 상·하한액 내에서 납부 금액 선택 가능
- 두루누리 사회보험료 지원은 월 보수 260만 원 이하 조건
- 소득 증가로 지원에서 제외될 수 있으므로 확인 필수
🏦 자동이체 신청의 장점
- 연체 방지 및 납부 이력 유지
- 일정 이벤트 참여 가능
- 연금 수급 조건 충족에 유리
📌 핵심 요약
| 2025년 하한액 | 400,000원 |
| 2025년 상한액 | 6,370,000원 |
| 적용 기간 | 2025.7.1 ~ 2026.6.30 |
| 모든 가입자 적용 | 직장인, 지역가입자, 임의가입자 포함 |
📞 문의처 안내
- 국민연금공단 고객센터 ☎ 1355
- 공식 홈페이지: www.nps.or.kr
📣 매년 조정되는 기준소득월액은 내 연금의 미래를 바꾸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정확한 신고와 꾸준한 납부로 든든한 노후를 준비하세요!